대한신경정신의학회, 보건복지부 국립정신건강센터

작성 및 감수

보건복지부 국립정신건강센터, 대한신경정신의학회

법적 한계에 대한 고지

본 정보는 정신건강정보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한 참고자료이며, 개별 환자 증상과 질병에 대한 정확한 판단을 위해서는 의사의 진료가 반드시 필요합니다.

수면무호흡증

감수일 2021.12.22


‘충분히 자도 개운하지 않고, 늘 피곤해요.’
 
  • 수면 무호흡은 자는 도중 일시적으로 숨을 전혀 또는 거의 쉬지 않는 것이 반복되는 질환입니다.
    수면 무호흡증은 성인 인구에서 매우 흔한 질환이며, 다양한 대사질환과 심혈관계질환과 동반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수면 무호흡은 폐쇄성 수면 무호흡증 (Obstructive sleep apnea, OSA), 중추성 수면 무호흡증 (Central sleep apnea), 혼합성 수면 무호흡으로 구분할 수 있으며, 이중 폐쇄성 수면 무호흡이 가장 흔하고 대표적입니다.
    폐쇄성 수면 무호흡에서는 자는 동안 상기도가 일시적으로 부분적, 혹은 완전히 막혀 숨을 제대로 쉬지 못하게 됩니다. 따라서 기도를 쉽게 좁아지게 만드는 체형 (비만, 작은 턱, 큰 혀 등)과 음주, 흡연 등의 생활습관이 수면무호흡의 위험성을 높이게 됩니다.  

    수면 무호흡증은 성인 인구에서 매우 흔한 질환이며, 다양한 대사질환과 심혈관계질환과 동반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진단되지 않고 치료되지 않은 수면 무호흡증의 유병률이 높습니다. 이 질환을 조기에 발견하고 적절한 관리를 하면 삶의 질이 향상될 뿐만 아니라 다양한 질병의 이환율과 사망률이 감소할 수 있습니다. 
  • 폐쇄성 수면 무호흡증(OSA)
    인두 및 설후기도의 막힘은 폐쇄성 수면 무호흡증(OSA)에서 폐색의 주요 원인입니다. 많은 요인이 이러한 폐색에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턱끝혀근(genioglossus)는 기도 열림을 유지하는 데 가장 중요한 근육입니다. 여러 연구에 따르면 노년층은 턱끝혀근(genioglossus)의 반응이 감소하고 신경근 긴장도가 낮아 폐쇄성 수면 무호흡증(OSA) 비율이 증가할 수 있습니다.

    폐경은 에스트로젠 고갈과 관련된 수면 무호흡의 또 다른 위험 요소입니다. 코골이와 주간 졸음 증상은 폐쇄성 수면 무호흡증(OSA) 유병률의 증가에도 불구하고 노인들에게서 덜 자주 보고됩니다.  이러한 결과에 대한 설명은 일반적으로 코골이에 대해 보고하는 보호자의 부재 혹은 연령 관련 요인(난청 등)으로 인해 코골이 소리를 듣지 못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또한 노인의 경우 중추성 무호흡의 구성 요소를 가질 가능성이 더 높습니다. 원인과 관계없이 수면호흡장애는 노인에서 더 복잡한 상태이며 상세한 병력 조사 및 신체검사를 통해 확인되어야 합니다.

    중추성 수면 무호흡증
    중추성 수면무호흡증에서 주로 나타나는 체인 스토크스 호흡은 과호흡과 무호흡이 반복되어 나타나는 현상입니다. 이는 심부전을 가진 환자들에서 자주 발생합니다. 심방세동이 공존할 때 더욱 위험도가 증가하며 고령과 남성에서도 위험도가 증가합니다. 또한 장기 지속형 아편계를 복용하는 사람에게서 나타나기도 합니다. 
     
  • 폐쇄성 수면 무호흡증(OSA)
    매우 흔한 장애로 최소한 아동의 1~2%, 중년층의 2~15%, 노인의 20% 이상에서 나타납니다.
    일반 인구에서 진단되지 않은 폐쇄성 수면 무호흡증 노인의 유병률은 매우 높습니다. 이 질환은 비만과 대단히 관련성이 높아서 비만율의 증가는 이 장애의 유병률 증가와 동반되는 경향이 있습니다. 남성, 노인, 그리고 특정 인종집단에서 유병률이 특히 높을 수 있습니다.

    성인에서 폐쇄성 수면 무호흡증(OSA)의 남녀 비율은 2:1~4:1 입니다. 성별의 차이는 나이가 들수록 감소하는데, 이는 여성에서 폐경 후 유병률이 증가하기 때문으로 추측됩니다.
    사춘기 전 아동에서는 성별의 차이는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중추성 수면무호흡증
    유병률은 알려지지 않지만 드물 것으로 추정됩니다. 폐쇄성 수면 무호흡증(OSA)보다 남성의 유병률이 더 높습니다. 유병률은 연령에 따라 증가하고 대부분의 환자가 60세 이상입니다.

    아편계 사용과 동반된 중추성 수면무호흡증
    비암성통증에 대해 만성 아편계를 복용하는 사람의 약 30%에서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 사례) 55세/남성
    55세 남자 환자는 최근 밤에 자주 깨고 낮에 조는 일이 많아 불면증을 호소하며 정신건강의학과에 내원하였습니다. 환자는 6개월 전 다니던 직장을 그만둔 후 살이 조금씩 찌기 시작하였고 최근까지 6킬로그램가량 체중이 증가하였습니다. 환자는 평소에도 코골이는 심하였으나 살이 찌기 시작하면서 코골이도 심해지고 보호자 보고상 수초간 숨을 쉬지 않는 모습이 관찰되었다고 합니다. 환자는 잠이 드는 것은 그리 어렵지 않다고 하나 자주 깨고 화장실도 여러 번 가게 되었다고 합니다. 낮에 졸림이 심하여 커피를 마시는 양도 늘어났다고 하며, 잠깐 조는 일도 많아졌습니다. 환자는 4~5년 전부터 고혈압약을 복용하고 있었으며 최근 건강검진에서 이상지질혈증을 진단받아 이에 대한 치료도 추가되었다고 합니다. 
  • 실험실 내 수면 다원 검사는 성인에서 임상적으로 의심되는 수면 관련 호흡 장애 진단을 위한 표준으로 간주합니다.
    수면 다원 검사는 수면 중 발생하는 질환들을 진단하는 표준검사로, 수면 중 뇌파, 안전도 검사, 근전도 검사, 심전도, 전체적인 비디오 촬영 등을 시행하면서 하룻밤 정도 잠을 자면서 검사하는 방법입니다. 수면 무호흡증의 진단은 호흡기 사건이 있을 때 확립되어 증상이 있는 환자에서 시간당 최소 5건의 무호흡-저호흡 지수(AHI)가 발생합니다. 

    아래와 같은 증상들이 개인적인 활동, 사회적 활동, 대인관계 전반에 걸쳐 나타나며 이로 인해 뚜렷한 기능적 손상을 초래하는 경우 호흡 관련 수면장애를 의심해 볼 수 있습니다. 
    * 자는 동안 코골이, 숨을 멈추는 모습이 관찰되기도 함. 
    * 자다가 자주 깸
    * 주간졸림, 낮에 피로감이 증가한다. 
    * 아침에 두통이나 입마름이 동반될 수 있다. 
    * 성욕 감퇴가 나타날 수 있다. 
    * 집중력 저하, 기억력 저하
    * 기분과 활력의 저하 
  • 폐쇄성 수면 무호흡증(OSA)
    일반적으로 폐쇄성 수면 무호흡증(OSA)을 가진 환자들은 여러 가지 생활습관들이나 위험인자를 먼저 교정해주는 것이 좋습니다. 먼저 비만이 증상을 악화시킬 수 있기 때문에 체중조절이 필요합니다. 또한 술이나 위험 약물(안정제 등)을 복용하는 것도 피해야 하므로 이에 대해 의사와 상의가 필요합니다. 마지막으로 잠을 자는 자세를 교정하는 것도 필요합니다. 옆으로 누울 때보다 똑바로 눕게 되면 구인두에 있는 목젖이 중력에 의해서 인두 뒷벽과 맞닿게 되어 숨길의 협착을 더 잘 유발하게 되어 코골이나 무호흡이 심해지므로 가능한 옆으로 자거나 엎드려 자는 자세를 유지하는 것이 좋습니다.

    하지만 수면 무호흡의 주관적인 증상이 뚜렷하거나 수면다원검사상 중등도 이상으로 평가된 경우에는 보통 생활습관 교정만으로는 한계가 있습니다. 수면 무호흡의 표준치료는 양압기(CPAP) 치료입니다. 자는 동안 양압기를 착용하여 지속적은 공기 압력을 제공하여 기도가 닫히지 않도록 합니다. 양압기 치료는 야간 수면의 질과 주간 졸림, 피로 등 증상을 개선할 뿐 아니라 다양한 심혈관질환, 폐 질환의 유병율과 사망률까지 개선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그 외 구강 내 보조 장치나 수술적 치료법도 있습니다. 이러한 치료는 수면 무호흡이 개인의 특정한 구강, 비강 구조에 의해 유발될 경우에 고려될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구강 내 보조 장치나 수술적 치료만으로 수면 무호흡이 완전히 해소되지 않으며, 수술 후에도 양압기 치료가 필요한 경우가 많습니다. 

    중추성 수면 무호흡증
    중추성 수면 무호흡증의 경우는 원인이 되는 질환이 있다면 그 질환을 교정하는 것이 우선일 수 있으며 폐쇄성 수면 무호흡증과 마찬가지로 비강 기도 양압호흡기를 사용하거나 환자에 따라서는 횡격막을 자극하는 수술적 치료가 필요할 수도 있습니다. 
  • • 체중조절, 금연, 금주 등 생활 습관을 교정하는 것이 좋습니다. 
    • 복용하고 있는 약물 중에 증상을 악화시키는 약물이 있는지 전문가와 상담해보는 것이 좋습니다. 
    • 똑바로 누운 자세로 잠을 자기 보다는 옆으로 눕거나 엎드려 자는 것이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 1. Foley D., Ancoli-Israel S., Britz P., et. al. Sleep disturbances and chronic disease in older adults: results of the 2003 National Sleep Foundation Sleep in America Survey. J Psychosom Res 2004; 56: p. 497-502.
    2. Punjabi N.M. The epidemiology of adult obstructive sleep apnea. Proc Am Thorac Soc 2008; 5: p. 136-143.
    3. Young T., Finn L., Austin D., et. al. Menopausal status and sleep-disordered breathing in the Wisconsin Sleep Cohort Study. Am J Respir Crit Care Med 2003; 167: p. 1181-1185. 
    4. Ohayon M.M., Carskadon M.A., Guilleminault C., et. al. Meta-analysis of quantitative sleep parameters from childhood to old age in healthy individuals: developing normative sleep values across the human lifespan. Sleep 2004; 27: p. 1255-1273. 
    5. Kim H.C., Young T., Matthews C.G., et. al. Sleep-disordered breathing and neuropsychological deficits. A population-based study. Am J Respir Crit Care Med 1997; 156: p. 1813-1819. 
    6. Lavie P., Herer P., Peled R., et. al. Mortality in sleep apnea patients: a multivariate analysis of risk factors. Sleep 1995; 18: pp. 149-157. 
    7. Olson L.G., King M.T., Hensley M.J., et. al. A community study of snoring and sleep-disordered breathing. Health outcomes. Am J Respir Crit Care Med 1995; 152: pp. 717-720. 
    8. Strollo P.J., Soose R.J., Maurer J.T., et. al. Upper-airway stimulation for obstructive sleep apnea. N Engl J Med 2014; 370. pp. 139-149. 
    9. Jiahui Lin, Maria Suurna. Sleep Apnea and Sleep-Disordered Breathing. Otolaryngol Clin North Am. 2018 Aug;51(4):827-833. doi: 10.1016/j.otc.2018.03.009. Epub 2018 May 17.

공공누리의 제4유형 마크 -"출처표시, 상업적 이용 금지, 변경 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공공누리의 제4유형 마크-  출처표시,  상업적 이용 금지,  변경 금지

이전글
수면과 수면장애
스트레스
다음글
만족도 조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만족하시나요?

    정신건강서비스 이용에 대한 다양한 의견을 접수할 수 있습니다.

    고객문의

    Top

    빠른 메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