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ND] 2025 No.2 초기 성인기의 정신건강, 국립정신건강센터 정신건강연구소에서 제공하는 국내외 정신건강연구 최신 정보, Mental health Information & NCMH Data

2025.08.19 조회수:112
국립정신건강센터 정신건강연구소에서 정신건강 연구정보지 MIND(Mental health Information and NCMH Data) 2025 No.2를 발간하였습니다. 
​최신 정신건강관련 연구정보를 담은 MIND는 누구나 알기 쉽고 이해할 수 있도록 제작했으며, 많은 분들에게 제공하여 도움​이 되고자 합니다. 
정신건강 연구정보지 MIND 2025 No.2에서는 초기 성인기의 정신건강과 관련된 연구 결과 내용을 담고 있습니다. 
연구정보지 MIND는 분기별로 발간 예정​이며, 정신건강에 대해 정보가 필요한 분들께서는 연구정보지 MIND에 많은 관심과 성원 부탁드립니다. 


국립정신건강센터 정신건강연구소에서 제공하는  국내외 정신건강연구 최신 정보 MIND(Mental health Information & NCMH Data) 2025년 2호    초기 성인기 정신건강 실태 초기 성인의 다양한 정신건강 문제 외로움, 불안, 우울/무기력, 분노, 학업 및 취업에 대한 스트레스 일상생활에 효율적으로 대처하는 것에 대한 어려움, 직무 스트레스, 동료관계, 상급자와 의사소통 과정, 미래에 대한 불안감, 번아웃 증후군 심각한 경우 자살충동  초기 성인기 정신건강 고위험군 개입 프로그램의 필요성 정신건강 문제를 조기 발견-예방-치료까지 이어지는 체계적 개입 필요 치료적 측면 우울증상의 감소, 기능회복 증상에 초점 예방적 측면 회복탄력성 증진, 의미 있고 가치 있는 삶의 향유 우울 증상 감소와 더불어 보호요인을 키우는 예방적 접근도 함께 이루어져야 한다.  회복탄력성* 회복탄력성 보호요인 개인 내부자원 자기조절능력, 정서조절 능력, 감정 통제력, 생활 만족도, 낙관성(긍정성) 외부자원 의사소통 능력, 대인관계 능력, 타인에 대한 공감 등 초기 성인기의 정신건강 위험요소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예방적 개입으로서의 중요한 역할 *위험요인에 직면했을 때 어려움을 극복하고 환경에 성공적으로 적응하는 능력  초기 성인기 정신건강 고위험군을 위한 개입 프로그램 개발 마음 봄봄 프로그램  초기성인을 위한 마음건강 프로그램 1회기 오리엔테이션/“나는 왜 힘들까?”, 자동적 사고찾기, 우울 유발적 사고탐색 2회기 우울과 불안감을 가져오는 자동적 사고 속 오류찾기 3회기 사고-정서를 분리하기, 정서를 명료하게 인식하기 4회기 부정적 정서를 감소시키고 정서적 표현력 기르기 5회기 스트레스가 우리에게 미치는 영향, 스트레스 신호를 탐지하자 6회기 나의 스트레스를 관리하는 ABC기법 7-1회기 나를 알아가는 시간, “나도 할 수 있을까?”, 나도 모르는 강점 7-2회기 긍정적 자아상 확립하기 8회기 긍정적 정서를 함양하기 위한 강점 기르기 9회기 가치로 이루어진 삶, 의미 있는 삶과 목표에 대하여 10회기 내가 찾는 내 삶의 꿈 그리고 극복할 수 있다는 자신감  개입 프로그램 효과성 검증 결과 감소 우울 사전평균 11.62%, 사후평균 8.19%, 부정적 정서 사전평균 25.77%, 사후평균 21.15% 개선 회복탄력성 사전평균 57.96%, 사후평균 68.39%, 삶의 만족도 18.81%, 사후평균 21.08%, 긍정적 정서 31.81%, 사후평균 35.15% 프로그램의 효과성 검증 결과, 증상의 감소 뿐만 아니라, 예방적 관점에서 회복탄력성을 증진시킴으로써 스트레스 상황에서도 정신건강을 유지하고 장기적인 보호요인으로 기능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정신건강 R&D사업 우수성과 고도화(정신질환 고위험군 대상 회복탄력성 증진 프로그램 고도화)에 대한 보다 상세한 내용은 우측의 QR코드를 통해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출처 국립정신건강센터(2018). 대학생 대상 정신건강 고위험군 발굴 및 개입기술 개발 최종 보고서 국립정신건강센터(2019). 정신건강 R&D사업 우수성과 고도화(정신질환고위험군 대상 회복탄력성 증진 프로그램 고도화)   본 연구는 정신건강 R&D사업단에서 수행되었습니다.
※ 본 동향지의 이미지를 도용하여 영리적인 목적으로 사용하거나 저작물을 복제하여 온라인 커뮤니티 등 다수의 사람들에게 공유/게시할 경우 저작권 침해로 인한 법적 책임에서 자유로울 수 없습니다.
(※ 본 간행물은 공공누리가 적용되지 않는 간행물입니다.)
이전글
[CURE] Vol.22
다음글이 없습니다.
다음글
만족도 조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만족하시나요?

    정신건강서비스 이용에 대한 다양한 의견을 접수할 수 있습니다.

    고객문의

    Top

    빠른 메뉴